OKR(Objectives and Key Results)은 구글, 인텔 등 유수 기업이 채택한 목표 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 명확한 목표(Objective)와 측정 가능한 핵심 결과(Key Results)를 분리하여 설정함으로써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죠!
따라서 OKR을 도입하면 단순한 ‘목표 설정’이 아니라, 조직 전체가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일관된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OKR의 핵심 개념
- Objective는 달성하고자 하는 ‘큰 그림’입니다. 예컨대 “2분기 내 블로그 방문자 30% 증가”와 같이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 가능하도록 작성해줍니다.
- Key Results는 Objective 달성 여부를 증명하는 정량적 지표입니다. “월간 페이지뷰 5만→6만”, “이탈률 60%→50%”처럼 수치로 표현하여 한눈에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무엇(What)’과 ‘얼마나(How much)’가 명확히 구분되어, 목표 달성 과정을 객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죠.
OKR 작성 단계
- Objective 정의
- 2~3문장 이내로 간결하게 작성합니다.
- 구성원의 열정을 자극할 수 있는 동기 부여 요소를 포함해 보십시오.
- Key Results 설정
- 핵심 결과는 2~5개로 제한하고, 모두 정량화 가능한 수치여야 합니다.
- 달성 난이도는 ‘도전적이면서도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조정합니다.
- 주기 및 리뷰 주기
- 일반적으로 분기(3개월) 단위로 운영하며, 팀 상황에 따라 매월 또는 반년 주기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 주간, 월간, 분기 등의 리뷰 루틴을 마련하고 분석 및 개선할 수 있도록 합니다.
도입부터 운영까지
킥오프 미팅에서는 팀 전체가 모여 공유하고, 각자 핵심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을 브레인스토밍해보세요.
주간 리뷰에서는 스탠드업 회의 때 전주 대비 진척도를 공유하고, 지연 요인을 즉시 분석하여 조치합니다.
월간 리뷰에서는 KR 달성률을 수치로 기록하고, 성공·실패 요인을 문서화하여 다음 주기에 반영합니다.
분기 종료 회고에서는 전체 달성 정도를 평가(예: 70% 이상 달성 시 성공으로 간주)하고, 우수 사례와 개선 과제를 정리해 조직의 학습 자산으로 활용합니다.
도구 및 템플릿 활용
OKR 관리를 위한 도구로는 노션 무료 템플릿, Google Sheets 기반 스프레드시트, Weekdone 같은 전용 SaaS를 추천합니다.
원하는 템플릿이 없다면 회사에 맞게 직접 수정해서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어떤 것을 사용하든 목표 설정과 성과 측정! 이 두가지가 핵심이라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도입 효과와 권장 이유
OKR은 조직 전체가 같은 목표를 공유하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협업 문화’를 형성합니다.
그렇게 하면 내가 달성해야 할 목표가 명확해질 뿐만 아니라, 동료·파트너와의 협업 방향도 구체화될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조직의 성장 속도는 물론, 개인의 업무 만족도도 크게 향상도 기대됩니다.
단, 세상에 완벽한 것은 없습니다. OKR로 넓은 범위 성과를 측정하고 각 세부적인 상황에서는 그에 맞는 관리 프레임워크를 찾아 적용시키고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